스케치업의 그림자 기능은 태양광을 기반으로 실제 그림자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기능이다. 이를 활용하면 건축물, 조경, 실내 공간 등에 대한 자연광 영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림자는 태양의 위치(시간, 날짜, 위치)에 따라 변하며, 이를 설정하여 자연스러운 렌더링이나 빛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그림자 기능의 주요 요소
태양의 위치: 시간과 날짜에 따라 달라지며, 위도와 경도 설정이 중요하다.
위치(Geo-location): 모델의 실제 위치를 설정해야 태양의 정확한 움직임을 반영할 수 있다.
시간(Time)과 날짜(Date): 특정 시간대의 그림자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자 강도(Shadow Intensity): 밝기 및 대비를 조절할 수 있다.
3. 스케치업 그림자 기능 사용법
1) 그림자 도구 활성화하기
상단 메뉴에서 [창(Window)] → [그림자(Shadows)]를 선택하여 그림자 패널을 연다.
기본적으로 그림자는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그림자 표시(Toggle Shadows)]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한다.
2) 위치(Geo-location) 설정하기
정확한 태양의 위치를 설정하려면 모델의 실제 위치를 지정해야 한다.
[파일(File)] → [지리적 위치 추가(Add Location)] 선택.
검색창에서 원하는 지역을 입력한 후 위치 가져오기(Grab Location) 클릭.
위성 이미지를 기반으로 위치를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3) 날짜 및 시간 조절하기
그림자는 시간과 날짜에 따라 다르게 표시된다.
그림자 패널에서 시간 슬라이더(Time Slider)를 조절하여 하루 중 태양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날짜 슬라이더(Date Slider)를 조절하여 연중 태양의 위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시간대(예: 오전 9시, 오후 3시 등)의 그림자 변화를 비교하면서 조명 계획을 세울 수 있다.
4) 그림자 강도 및 밝기 조절
그림자 어두움(Dark): 그림자의 진하기를 조절한다.
그림자 밝음(Light): 빛의 강도를 조절하여 밝기를 조정한다.
두 값을 조정하여 적절한 명암 대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그림자 구성 요소에서 그림자를 씌우거나 거두기로 천장의 그림자를 없앨 수 있습니다.
4. 그림자 기능 활용 사례
1) 건축 설계 및 분석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자연광을 분석하여 창문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림자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빛 반사를 고려한 설계가 가능하다.
특정 계절(예: 여름, 겨울)에 따른 빛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2) 조경 디자인
건물 주변 나무나 조경 요소가 그림자를 얼마나 드리우는지 분석할 수 있다.
특정 시간대에 일조량이 부족한 공간을 확인하고 적절한 수목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3) 실내 인테리어 및 조명 계획
창문을 통한 자연광 유입량을 확인하여 최적의 조명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시간대의 그림자를 확인하여 조명 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5. 그림자 기능 활용 팁
모델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날짜와 시간을 변경하며 다양한 시나리오를 테스트해야 합니다 그림자 강도와 밝기를 조절하여 자연스러운 조명 효과를 연출합니다 렌더링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합니다
스케치업의 그림자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면 더 현실적인 모델링과 조명 분석이 가능하므로, 설계 및 시각화 작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자구요~